퍼스널 트레이너에 대한 편견은 바뀔 수 있을까?

한국 피트니스 시장이 활력을 띄고 급격히 성장한 건 10년이 안된듯하다.

필자가 체대에 입학한 2009년도만 해도 ”헬스장 관장님“ 수식어가 지배적이었고,

퍼스널 트레이너라는 직업적 명칭도 생소했다.

누구나 할 수 있고, 언제든 취직할 수 있었다.
타 직업군 대비 진입장벽이 낮았다.

그로 인해 ‘가볍게’ 생각하고 도전하는 사람이 많았다.
파이는 커지는데 이름에 걸맞지 못한 전문성과 태도의 간극으로 지금의 이미지가 형성됐다.

*퍼스널 트레이너: 전문 지식을 활용해 1:1로 운동을 지도하는 사람, 더 나아가 삶의 질을 개선해 주는 운동 동반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

어떤 유형의 트레이너가 안 좋은 인식에 일조했는지 유튜브 콘텐츠로 엿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좋은 트레이너 구분법, 나쁜 트레이너 구분법, 찐 트레이너 구분법
최악의 트레이너 구분법 등.. 무수히 많은 콘텐츠가 생성됐다.

유튜브에서 얘기하는 구분법은 두 가지로 나뉜다.
[ 좋은 트레이너 / 나쁜 트레이너 ]

좋은 트레이너: 대회 입상 경력, 공신력 있는 자격증, 프로그램 제공, 식단 제공, 관리하는 방법 보여주기 등..

스펙 및 업무 관련 내용이다.

나쁜 트레이너: 수업 중 핸드폰 보기, 숫자만 세고 자세는 뒷전, 전문성이 부족함, 설명 대충 하기, 수업 시간 안 지키기,

머신 운동만 시키는 트레이너 등.. 일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사실 좋은 트레이너, 나쁜 트레이너 구별법이라기 보다
삶을 대하는 태도나 행동의 문제다.

이런 말들이 나온 건 우리가 자초한 것이다.
늦었다고 생각하지 말고 변화에 집중하자.

고객의 소리를 귀담아듣고 교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자.

5가지로 요약하면

  1. 전문성을 위해 이론과 실기를 배양하자.
  2. 핸드폰은 고객을 위해 사용하자. (공과 사 구분)
  3. 회원님 자세는 어떤지 잘 보자 카운트 세주는 기계가 아니다.
  4. 고객이 궁굼한 운동정보가 있다면 제대로 답해주자. (모르면 찾아보자)
  5. 수업 시간을 소중히 여기자. (지각x, 정규 수업 시간보다 일찍 끝내기x)

이미 잘하고 있는 선생님들은 반복에 지치지 말고,
발전할 여지가 있는 선생님들은 함께 노력하자.

이 글은 퍼스널 트레이너가 편견이 적은 직업으로 변화하길 소망하는 11년 차 코치의 외침이다.

글: 김코어
편집자: 엄기훈

퍼스널 트레이너에 대한 편견은 바뀔 수 있을까?
Scroll to top
error: Content is protected !!